I. Inspiration
Background
As a YouTube creator, I experienced firsthand the difficulty of raising capital to produce quality contents and the unreasonable revenue share from the platform. As a blockchain developer, I wanted to solve this problem in a decentralized way.
Problem (Creators)
Youtube Creator Interview https://www.youtube.com/watch?v=P7ZMM_1Kbo8
We've seen a lot of creators who are passionate about creating quality contents shut down due to financial concerns or only focus on making commercials.
The current YouTube service policy forces creators to upload every day in order to get more exposure from the algorithm, and this has led to an environment where it is more important for creators to post trending, sniping, and sensationalized videos than to create quality content, and this is only getting worse.
Through interviews with 30 professional creators, we found: 1. unfair revenue distribution system; 2. algorithms and sudden account suspensions that make it difficult to produce quality content; and 3. disadvantages in financial services.
Problem (Fans)
Fans want creators to create more quality content. So, sponsorships are often used to help keep content creators going, but 30% of that money is taken by the platform.
The quality content that fans want to see is often sponsored by advertisers, so fans end up seeing ads instead of the content they really want to see.
Fans are also contributors to the ecosystem as consumers of content, but they are not rewarded at all. So even if they do support creators, there is no particular reward for them, which makes it hard for them to feel the need to support. If fans want to invest in or own content themselves, there is currently no way for them to do so.
II. What it does - Solution
With Wantu, content creators upload a teaser video of the video they want to produce, and their fans decide on the value and make a piece investment. The entire investment process is transparently managed on the blockchain.
Once the funding is complete and the content is produced and monetized, the content creator and the investor share the profits, which is how Wantu works.
On our platform, content creators can produce better quality contents with more stable income. Fans participate in the creation of content and build new relationships with creators.
III. How we built it
Current progress
- Creators issue Security Tokens (ST) to fans to fund content creation / Beta completed
- Theta-based OTT platform improves profitability, distributing revenue to creators and ST holders / Building with Theta
Frontend Used Flutter to support cross platform. We are plan to support web using react near future.
Backend Build with python Django framework. Used AWS EC-2, RDS to provide our server. Used S3 & Cloudfront for uploading thumbnail and images. Used Theta Video API to upload our teaser and full content video upload. Built NodeJS Server to deploy and transfer TNT-20 tokens.
IV. Challenges and Accomplishments
As our project was based on python, and theta network don't have python based SDK yet, we had to wrap our REST API Endpoints with NodeJS based server to use Theta-JS-SDK. We are really satisfied for forgetting about high cost of content distribution thanks to the Theta Video API. And we expect huge amount of traffic once we launched, as our contents are made by famous Youtubers in Korea, and we want to see how Theta Network can handle high traffic and compare the actual cost for the traffic between traditional CDNs.
V. What we learned
Developement
When we were planning our decentralized service, it was difficult to find a mainnet that would work with our service. Theta is a blockchain optimized for the decentralized creator economy. In particular, the low cost of storage and streaming is a powerful tool.
The API documentation and developer community helped us build our product, as we could find repositories from the projects presented in the previous hackathons.
Business
When we originally planned to build our product on AWS, we only considered launching an OTT service, excluding a live streaming service due to cost, but when we discovered Theta, we got the idea for a live streaming service. Basically, we are pursuing an OTT platform, but we can also hold live premiere screening events for fans who are invested. We plan to utilize the live streaming service in various ways for fans.
VI. What's next for Wantu
- Token gated system for NFT Holders and Token Holders to access exclusive contents.
- Onboarding of WEB2 Creators to Wantu : We have already gathered more than 30 Youtube Creators
- Listing Security Token on exchange using APIs not using theta explorer.
- Next global OTT platform backed by fans → WEB3 Mass Adoption
VII. What we can contribute to Theta Network?
Mass Adoption by creating Theta wallets for users. As we are targeting high-quality contents that delivered free, many viewers would move to ‘Wantu’.
Team
Our team members are Blockchain & Content creator experts.
- Yoonseok Choi - Technical Lead
Serial Entrepreneur with AI, Blockchain Startups (Co-founder and CTO of NFT based Wine Investment Platform that raised Pre-A Series) Youtube Creator with 50K Subscribers.
- Kevin Baek - Full Stack
Co-founder of E-sports crowd funded tournament platform.
- Fernando Jeon - Marketer
Global blockchain marketing expert NFT, ICO, Staking.
- Nigar Eyyubova - Business Development & Content creator
Famous Youtube Creator in Korea, Participated in blockbuster Youtube content project with 8M Views per Episodes.
Try it out
Wantu - Fair Rewards for quality content
Fair Rewards for quality content. STO based video OTT Platform for content creators
www.wantu.io
아이디어 소개
NFT 기반의 콘텐츠 제작 투자 거래 플랫폼으로서,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짧은 티저 영상을 제작하고 투자자들은 해당 티저의 NFT를 구매하여 본영상 제작에 필요한 투자금을 제공해, 크리에이터가 고퀄리티의 영상제작을 하고 콘텐츠 자체 수익과 NFT 판매 거래 수익을 올릴수 있는 콘텐츠 플랫폼 서비스.
초기 고객과 주 콘텐츠는 유튜버중 12%이상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저작권 문제 등으로 수익창출제한이 막혀있어 어려움이 많은 커버송 크리에이터로 자사가 보유한 인공지능 기반 자동 가라오케 변환 기술을 활용하여 커버송 유튜버들을 대상으로 쉽게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하여 서비스를 시작해 코미디, 예능, 드라마등의 콘텐츠로 확장 예정
유사 서비스들로는 AFT 마켓, 펀더풀, 뮤직카우 등의 NFT 마켓, 펀딩, 투자 플랫폼이 있으며, 우하향하는 콘텐츠의 인기 특성상 타 플랫폼에 비해 콘텐츠 제작 이전 투자가 이루어지며, 짧은 제작기간으로 초반 높은 수익률과, 수익회수 까지의 시간이 더 짧은 것이 특징임. 또한 NFT홀더는 NFT 판매 차익 뿐만아니라, 본영상 콘텐츠의 수익을 지분에 따라 배분받아 시청자 또한 단순 후원이 아닌 투자자로서 돈을 벌 수 있는 서비스임.
틱톡, 유튜브 등의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활동하는 영상 플랫폼이 직접적인 경쟁서비스이며, 해당 플랫폼의 경우 크리에이터 친화적인 수익구조가 아닌 플랫폼 친화적인 수익구조로서 상위 1프로 이내의 일부 크리에이터를 제외한 대부분은 조회수로 발생하는 광고수익으로는 영상 제작비용 회수가 매우 어려움.
본 서비스에서는 크리에이터를 위한 수익구조로 조회수와 별개의 추가적인 매출 수단들을 다양하게 제공하여 크리에이터가 원하는 콘텐츠 제작을 할수 있도록 도울 수 있으며, 팬과 크리에이터의 관계를 단순 시청자가 아닌 함께 제작하는 파트너로서 끌어올릴수 있음.
우리는 현재 유튜브, 틱톡 크리에이터의 불합리한 수익구조를 개선하고 시청자와 크리에이터가 함께 만들어가는 콘텐츠 시대를 열것임.
지금 창업팀이 선택한 아이디어에 대해서, 혹시 해외에 유사한 모델이나 회사가 있다면 어디인지 소개해주세요.
- Coin/Blockchain 기반 후원 서비스
- Chainflix - https://www.chainflix.biz (시청자에게 코인 리워드 제공)
- Only1 - https://only1.app (크리에이터 코인 투자)
- YouVest - https://youvest.in (크리에이터에 코인으로 투자)
경쟁사들은 어떤 곳들이 있고, 그들과 비교했을 때 어떤 경쟁우위를 가져나갈 수 있을지 설명해주세요.
경쟁우위 콘텐츠 제작 자체에 투자하여 작품에 따른 수익을 블록체인을 통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정산 지속적인 콘텐츠 제작에 대한 압박 없이 콘텐츠 단위의 제작 가능
현황 대부분의 서비스가 크리에이터나 후원자에게 보상을 제대로 지급하지 못함. 콘텐츠 제작에 대한 투자가 아닌 크리에이터 자체에 대한 투자 진행하여 크리에이터의 동기 부여 및 지속적인 유입, 확실한 투자금 추적이 어려움
- Patreon, OnlyFans - 크리에이터 구독 후원 서비스
- Kickstarter -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 시장의 문제점과 기회
- 팬들이 겪는 문제
- (1)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더 많은 영상을 만들어주길 원하고 있음
- (2) 콘텐츠 크리에이터 활동을 지원해주기 위해 후원을 하고 있으나 해당 금액이 콘텐츠 제작에 활용되고 있는지 진행상황을 알 수 없음
- (3) 소액으로도 컨텐츠 제작에 투자를 하고 소유하고 싶으나 마땅한 플랫폼이 존재하지 않음
- 찾은 기회
-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시장의 TAM은 매년 18% 이상 성장하고 있으며, 현재는 $104B에 이르고 있음
- 이전 onlyFans, Patreon과 같은 정기후원 리워드 형태에서 직접적인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것을 돕는 투자의 형태로 바뀌고 있음
- Web 3.0의 시대가 열리면서 기업 주도 투자 형태가 아닌,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팬들 주도 투자 형태로 변하고 있음
- 국내 주요 은행들이 내년 34조원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는 STO 조각 투자 시장에 참여하고 있음
- 영상 컨텐츠 조각투자 플랫폼을 주도하고 있는 기업이 아직 존재하지 않음
- 팬들이 겪는 문제
- 제품/서비스 상세소개
- (1) 콘텐츠 크리에이터가 제작하고자 하는 영상의 모금을 하면, 팬이 가치를 판단하고 조각 투자를 진행
- (2) 투자 내역은 블록체인에 기록되는 STO 형태로 발행됨
- (3) 펀딩이 완료되면 본 콘텐츠가 제작되고 광고주와 매칭을 통해 스폰서 광고비가 매출로 발생
- (4) 이후 콘텐츠 업로드 영상은 기존 CDN 대비 50%이상 저렴한 비용의 블록체인 기반 P2P 비디오로 공유됨
- (5) 영상에서 발생된 수익은 콘텐츠 제작자와 투자자에게 매달 분배됨
- 유사/경쟁 서비스
- 국내
- 아워튜브(시드 , 2022년 설립) : 유튜브 채널 광고수익청구권 거래 플랫폼
- 펀디(베타서비스, 2022년 설립) : 유튜버 전용 자금 지원 플랫폼
- 해외
- Spotter(시리즈 D $230M, 2019 설립) : 유튜브 콘텐츠 백 카탈로그 기반 투자 플랫폼
- Patreon(시리즈 E 이상, $413M, 2013 설립) : 팬기반 뮤지션과 아티스트를 위한 후원 플랫폼
- OnlyFans (시리즈, 2016 설립) : 크리에이터가 콘텐츠를 통해 수익화와 팬들과 유대감을 형성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 국내
- 경쟁력/차별점
- 크리에이터에게 투자하는 형태가 아닌, 콘텐츠 제작 자체에 조각 투자하는 국내 최초 모델
- 콘텐츠 제작에 블록체인 기술을 추가하여 투자 내역과 정산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자동화 구축
- 콘텐츠 크리에이터는 금전적 부담 없이 콘텐츠 제작에 집중할 수 있으며, 제작 과정을 팬들과 공유해 더 많은 아이디어를 얻고 유대감을 강화시킬 수 있음
- 팬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크리에이터에게 투자 및 후원할 수 있으며, 영상 수익을 매월 자동 정산받을 수 있음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문제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활동하면서 주변 많은 유튜버들이 금전적인 문제로 활동을 중단하거나 힘든상황에 처해 있는경우를 많이 보았습니다. 어느 순간 즐겨보던 채널에서 낮은 수익률로 업로드가 중단되는 경우도 많이 보았습니다.
알고리즘에 의해 노출을 더 많이 시키기 위해서 매일 업로드를 반 강제로 요구하는 현재 유튜브의 서비스 정책과 이로인해 좋은 퀄리티와 아이디어를 바탕으로하는 콘텐츠를 만드는 것 보다, 낮은 퀄리티의 이슈몰이, 저격영상, 자극적인 영상들을 올리는 것이 수익적인 측면에서 더 좋은 환경에 있어 좌절감을 느끼게되었습니다.
더 많은 콘텐츠들과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조회수 경쟁은 더 심해지게 되었고, 플랫폼의 전체 조회수는 크게 늘어 수익이 증가한 반면 크리에이터의 수익은 플랫폼이 커짐에 따라 더 많은 경쟁으로 줄어들고 있습니다. 초 개인화 시대에 따라 모두가 같은 콘텐츠를 즐기는 것이 아닌 소수의 매니아들이 특정 콘텐츠를 즐기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주변 크리에이터들과 구독자들을 통해 생각보다 많은 이들이 이에 공감을 하고 있었고, 웹 3.0의 시대가 되면서 플랫폼 중심에서 콘텐츠 창작자들과 시청자들을 위한 보상체계들이 갖추어지는 것을 보고 앞선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창업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팬들의 문제
팬들은 크리에이터가 더 많은 콘텐츠들을 만들어 주기를 바랍니다. 따라서 후원을 통해 지속적으로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이 활동 할 수 있도록 금전적으로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후원은 직접적으로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이 콘텐츠 제작에 사용하기 보다는 크리에이터 본인들의 생활을 하는데 쓰이게 되며 대부분의 큰 프로젝트나 좋은 퀄리티의 콘텐츠는 후원보다는 광고주들의 투자를 통해 이루어 지는 경우가 많아 팬들이 진정으로 보고 싶어하는 콘텐츠가 아닌 광고물을 보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콘텐츠 크리에이터에게 후원을 하더라도 그돈이 콘텐츠 제작에 직접적으로 쓰이기가 힘들며 팬들에게도 콘텐츠 형태로 돌아오는 것 외에는 특별한 보상이 존재 하지 않아 크게 후원을 할 필요성을 느끼기 힘듭니다.
과거 저작권수익청구권 투자플랫폼인 뮤직카우가 그러했듯 팬들이 단순 소비자를 넘어 투자자들이 되고 있지만 현재 콘텐츠를 투자하거나 소유하고 싶어도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창업 동기]
유튜브와 틱톡은 초기에 창작을 쉽게 시작할 수 있는 플랫폼의 역할을 했지만 역설적으로 트래픽을 독점하며, 창작자에게 선택의 여지가 없게 되었습니다. 조회수 경쟁 심화로 플랫폼의 수익이 크게 증가한 반면 개별 창작자의 수익은 줄어들고, 때문에 콘텐츠의 퀄리티는 하락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콘텐츠 창작자와 이들의 콘텐츠를 소비하는 팬이 저희 고객이며, 이들이 겪는 불편을 공정한 콘텐츠 창작 생태계를 만들어 해결하고자 합니다. 저희 만들어 나아갈 생태계에서는 주요 기여자인 콘텐츠 창작자와 팬들 모두에게 정당한 보상을 제공할 것입니다.
[창작자 Side]
양질의 콘텐츠 창작을 추구하는 창작자들이 금전적인 문제로 활동을 중단하거나 광고 영상 제작에만 몰두하는 것을 많이 보았습니다.
현재 유튜브 서비스 정책은 알고리즘에 의해 노출을 더 많이 시키기 위해서 매일 업로드를 반 강제화 합니다. 이로 인해 양질의 콘텐츠를 만드는 것 보다, 이슈몰이, 저격영상, 선정적인 영상들을 올리는 것이 수익적인 측면에서 더 중요한 제작 환경이 되었고, 이는 더 심화되고 있습니다.
콘텐츠로 생계를 이어가는 10만 이상 구독자를 보유한 창작자 30명과의 인터뷰를 통해서 ‘1. 공정하지 못 한 배분 시스템 2. 양질의 콘텐츠를 제작하기 어려운 알고리즘과 갑작스러운 계정 정지 3. 직업으로 인정받지 못해 은행권 금융 서비스에서의 소외’를 확인했습니다.
[팬 Side]
팬들은 창작자가 더 많은 양질의 콘텐츠를 만들어 주기를 바랍니다. 이에 후원을 통해 지속적으로 콘텐츠 창작자들이 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후원은 콘텐츠 제작에 사용하기 보다는 창작자의 생활비로 쓰입니다.
팬들이 보고 싶어하는 대형 프로젝트나 양질의 콘텐츠는 주로 광고주들의 스폰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많아 팬들이 진정으로 보고 싶어하는 콘텐츠가 아닌 광고물을 보게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팬 역시 콘텐츠의 소비자로서 생태계의 기여자이지만 보상은 전혀 없습니다. 따라서 창작자에게 후원을 하더라도 팬들에게는 특별한 보상이 없어 후원의 필요성을 느끼기 어렵습니다. 저작권수익청구권 투자플랫폼인 뮤직카우와 같이 팬들이 소비자를 넘어 투자자가 되고 있으나, 현재 영상 콘텐츠 영역에서는 투자하거나 소유하고 싶어도 방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경쟁사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위한 투자 기반 플랫폼)
- 국내
- 아워튜브 (시드 , 2022 설립) https://ourtube.co.kr/
- 유튜브채널 광고수익청구권 거래 플랫폼
- 펀디 (베타서비스, 2022 설립) https://fundi.co.kr/
- 유튜버 전용 자금 지원 플랫폼
- 해외
- Spotter (시리즈 D $230M, 2019 설립 ) https://www.spotter.la
- 유튜브 콘텐츠 백 카탈로그 기반 투자 플랫폼
- Creative Juice (시리즈 A, 2021 설립) https://www.getjuice.com/
- 콘텐츠 크리에이터를 위한 뱅킹 & 파이낸셜 네트워크 서비스
- Only1 (시드 $3M, 2021 설립) https://only1.app
- 솔라나 NFT 기반 콘텐츠 크리에이터 소셜 플랫폼
유사 서비스 (크리에이터 후원 플랫폼 및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 국내
- 텀블벅 (시리즈 A ⇒ M&A 시리즈 D [모기업 백팩커], 2011 설립) https://tumblbug.com/
- 콘텐츠분야 리워드형 크라우드펀딩 서비스
- 빅크 (프리 A, 2021 설립) https://www.bigc.studio/
- 크리에이터를 위한 비즈니스 도구와 기술을 제공하는 크리에이터 테크 플랫폼
- 해외
- Patreon (시리즈 E 이상, $413M, 2013 설립) https://patreon.com
- 팬기반 뮤지션과 아티스트를 위한 후원 플랫폼
- OnlyFans (시리즈, 2016 설립) https://onlyfans.com
- 크리에이터가 콘텐츠를 통해 수익화와 팬들과 유대감을 형성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크리에이터 이코노미 시장 동향 (2010년⇒ 2022년 시장규모 + 성장 속도)
이전에는 onlyFans, Patreon과 같은 정기후원 리워드 형태 혹은 독점 콘텐츠 공개 방식에서 직접적인 콘텐츠 제작이 가능한 것을 돕는 투자의 형태로 바뀌고 있음. 해외의 경우 기업 주도의 투자 형태의 서비스로 크리에이터를 위한 기업주도의 투자형태이지만 국내의 경우 팬들 기반의 투자 형태로 최근 회사들이 설립되고 있음
대부분의 서비스가 크리에이터에게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는 후원자에게 보상을 제대로 지급하지 못하며, 콘텐츠 제작에 대한 투자가 아닌 크리에이터 자체에 대한 투자 진행하여 크리에이터의 동기 부여 및 지속적인 유입, 확실한 투자금 추적이 어려움
경쟁우위
크리에이터에게 투자하는 형태가아닌 콘텐츠 제작 자체에 투자하여 작품에 따른 수익을 블록체인을 통해 투명하게 공개하고 정산까지 추적이 가능한 형태.
따라서 콘텐츠 크리에이터는 지속적인 콘텐츠 제작에 대한 압박 없이 콘텐츠 단위의 제작이 가능하며, 콘텐츠 제작시의 리스크를 줄일 수 있으며 콘텐츠 제작하는 과정을 팬들과 공유해 더 많은 아이디어를 얻고 팬들과의 관계를 강화시킬 수 있음.
'주저리 주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즈니스 아이디어 도출 방법 배우기 (0) | 2023.06.29 |
---|---|
[사이드 프로젝트] Youtube 웹드라마/웹예능 평가/추천 플랫폼 (0) | 2023.06.22 |
창업 동기부여/관련 명언 (0) | 2023.03.10 |
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CLF-C01) 자격증 후기 (0) | 2023.03.04 |
비전공 개발자 (0) | 2023.02.25 |